시장 불확실성 속 투자자들의 선택, '파킹형 ETF' 집중 분석 ('25년 1분기)

반응형

시장 불확실성 속 투자자들의 선택, '파킹형 ETF' 집중 분석 ('25년 1분기)

2025년 1분기, 불안정한 글로벌 금융시장 속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자산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특히 '파킹형 상장지수펀드(ETF)'는 변동성을 회피하려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올랐습니다.

파킹형 ETF, 투자자들의 안전 자산 선호 심리 반영

  • 한국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개인 투자자들은 미국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 외에도 파킹형 ETF를 적극적으로 매수했습니다.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2,247억 원 순매수 (6위)
  • RISE 머니마켓액티브: 1,651억 원 순매수 (9위)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1,609억 원 순매수 (10위)
  •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국내 정치 불확실성, 공매도 재개 등 시장 불안 요소가 커지면서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파킹형 ETF란?

  • 파킹형 ETF단기간 자금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일반 계좌보다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 마치 자동차를 잠시 주차(파킹)하듯, 자금을 유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시장 변동성이 클 때 안전한 투자처로 활용됩니다.
  • 2025년 1분기 개인 투자자들의 파킹형 ETF 순매수 규모는 7,9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7%, 직전 분기 대비 10.50% 증가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 1분기, 자금 유입 상위 파킹형 ETF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1조 5,531억 원 (1위)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2,163억 원
  • RISE 머니마켓액티브: 1,975억 원
  •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1,904억 원
  • SOL 초단기채권액티브: 1,875억 원
  • 특히 KODEX 머니마켓액티브는 전체 ETF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되며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습니다.

전문가 분석 및 전망

  • 삼성자산운용 윤성인 매니저는 "KODEX 머니마켓액티브는 초단기 채권과 유동성 자산으로 구성된 비교 지수를 추종하여 시장 금리 변동에 대한 충격이 적다"며, "국내외 정치·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파킹형 ETF 외에도 금 ETF(ACE KRX금현물 ETF)에 2,831억 원의 자금이 유입되었는데,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경기 침체 속 고물가 우려로 금값이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 ​한국투자신탁운용 남용수 ETF운용본부장은 "미국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 현물 ETF가 주목받고 있으며, 증시에서 이탈한 투자자들과 금리 수준의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파킹형 ETF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맺음말

  • 2025년 1분기 금융시장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커졌고, 투자자들은 파킹형 ETF와 금 ETF 등 안전 자산에 투자했습니다.​
  • 파킹형 ETF는 단기 안전 자산으로서 앞으로도 인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으며, 금 역시 시장 불안이 지속되는 한 주요 투자처로 남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신중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조 : 헤럴드경제('25.4.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