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추경이 다가올수록 강세 보이는 필수소비재주, 왜 주목받나?
최근 국내 증시에서 필수소비재주가 강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기 대선과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굵직한 정책 이벤트가 다가오면서, 경기 방어주로서의 매력과 함께 정책 수혜 기대감이 동시에 부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필수소비재주, 올해 코스피의 두 배 상승률 기록
4월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KODEX 필수소비재 ETF’는 12.1%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6.25%)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이 ETF의 주요 구성 종목인 이마트(46.2%), 삼양식품(28.4%), 오리온(16.7%), 아모레퍼시픽(16.2%), KT&G(5.8%) 등이 연일 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증시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아이셰어즈 US 컨슈머 굿즈 ETF’(IYK)는 올해 7.41%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5.74% 하락해 필수소비재주의 방어적 성격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부각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필수소비재주의 강세 배경
[경기 방어주 역할]
- 필수소비재는 경기 변동과 상관없이 꾸준한 수요가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가격이 오르더라도 수요가 크게 줄지 않아(가격 탄력성이 낮음), 인플레이션이나 원재료 가격 상승 시에도 실적이 오히려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책 이벤트 수혜 기대]
- 정부는 12조원 규모의 추경을 통해 내수 경기를 부양할 계획입니다. 야당을 중심으로 2차 추경 논의까지 이어지면서, 경기 부양책에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내수 소비재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역대 정부 사례]
- KB증권에 따르면, 최근 4개 정부(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출범 시 첫 추경 집행 전 3개월간 필수소비재 업종 주가는 평균 5.66% 상승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화장품·의류·완구(2.53%), 자동차(-1.83%), 반도체(-3.95%) 등 다른 업종 대비 월등히 높은 성과입니다.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
- 외국인 투자자 역시 네이버, 카카오, 한국전력, 삼양식품 등 내수주와 필수소비재주를 집중 매수하고 있습니다. 반면 조선주 등은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는 등 수급 측면에서도 필수소비재주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표 필수소비재주 동향: 오리온, 이마트 등
특히 오리온은 K-푸드 열풍과 해외 법인 실적 개선에 힘입어 주가가 2025년 3월 기준 전년 대비 8.24% 상승했습니다. 해외 매출 비중이 65%에 달할 정도로 글로벌 성장세가 뚜렷하며, 중국·베트남·러시아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 중입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더욱 끌고 있으며, 장기적인 성장 전망도 밝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투자 전략: 불확실성 시대의 방어적 포트폴리오
전문가들은 국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필수소비재 중심의 방어적 투자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합니다.
경기 침체 우려, 글로벌 무역전쟁 등 시장 변동성이 클 때마다 필수소비재주는 꾸준한 수익률과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해왔기 때문입니다.
맺음말
대선과 추경 등 정책 이벤트가 다가올수록 필수소비재주의 추가 상승 모멘텀이 기대됩니다.
경기 방어주로서의 안정성과 정책 수혜주로서의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필수소비재주는 현 시점에서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마트, 오리온, 삼양식품 등 주요 종목과 KODEX 필수소비재 ETF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르므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한 정보 수집과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투자이야기 > ETF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풀리는 한한령, BTS 완전체 컴백까지! 엔터株, 지금이 기회? (30) | 2025.05.04 |
---|---|
5월 관세 리스크 완화 기대, 개미는 여전히 '하락 베팅'…증시 전망과 투자 전략 (28) | 2025.05.03 |
NH-Amundi자산운용 ‘피지컬AI 투자 가이드북’ 발간 및 HANARO 글로벌피지컬AI 액티브 ETF 투자포인트 (16) | 2025.04.30 |
최근 한 달간 조선 ETF '쾌속질주'…방산 제치고 수익률 1위 (22) | 2025.04.29 |
4월 29일 상장! 미국 초단기 국채 & 고배당 ETF 투자 전략 (27)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