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TOP 5 심층 분석: K팝과 자동차 산업의 약진

반응형

국내 주식형 펀드 주간 성과 TOP 5 심층 분석: K팝과 자동차 산업의 약진

최근 국내 주식형 펀드 시장에서 엔터테인먼트 관련 상품들이 두각을 나타내며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3월 30일 기준, KG제로인의 분석에 따르면 순자산액 100억 원 이상, 운용 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 주식형 펀드 중 지난 일주일(3월 24~28일) 동안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한국투자ACE KPOP포커스 상장지수펀드(ETF)’로, 수익률은 8.06%였습니다.

상위 펀드별 주요 내용 및 투자 전략

1. 한국투자 ACE KPOP포커스 ETF

  • 수익률: 8.06%
  • 투자 대상: K팝 산업 내 시장 지배력을 가진 상위 10개 기업.
  • 주요 종목: 에스엠(SM), 하이브(HYBE), JYP엔터테인먼트(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YG Entertainment), 큐브엔터(Cube Entertainment) 등.
  • 성과 요인: 한한령 해제 가능성에 따른 중국 시장 진출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며 높은 수익률을 기록.

2. 미래에셋 TIGER미디어컨텐츠 ETF

  • 수익률: 6.64%
  • 투자 대상: ‘와이즈 미디어컨텐츠 지수’를 추종하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투자.
  • 주요 종목: 에스엠(SM), 와이지엔터테인먼트(YG Entertainment), 디어유(Dear U), 스튜디오드래곤(Studio Dragon) 등.
  • 성과 요인: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성장 기대감.

3. NH-Amundi HANARO Fn K-POP&미디어 ETF

  • 수익률: 6.58%
  • 투자 대상: 주요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기업.
  • 성과 요인: 중국 시장 재개 가능성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4. 신한 SOL 자동차TOP3플러스 ETF

  • 수익률: 2.82%
  • 투자 대상: 자동차 산업 내 주요 기업.
  • 성과 요인: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계획 발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5. 삼성 KODEX자동차 ETF

  • 수익률: 2.65%
  • 투자 대상: 자동차 산업 관련 기업.
  • 성과 요인: 미국 관세 압박 속에서 현대차의 대응 전략이 투자 심리 개선에 기여.
 

엔터테인먼트 펀드의 상승 배경

 

한한령 해제 가능성

최근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문화 교류 복원 협력 논의가 이루어지며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 시장에서 K팝 아티스트와 한국 콘텐츠의 접점이 확대되었으며, 이는 엔터테인먼트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 기대를 높였습니다.

주요 사례

  • K팝 걸그룹 아이브와 트와이스가 각각 상하이에서 팬 사인회를 개최.
  •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 17’이 중국 전역에서 개봉.

경제적 파급 효과

 

황지원 iM증권 연구원은 “K팝 그룹의 중국 공연은 상당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한령 해제 시 기획사의 실적과 밸류에이션 상향을 기대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전체 시장 동향

국내 주식형 펀드

지난 한 주간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손익률은 -1.54%로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가 위험 자산 선호 심리를 위축시킨 결과로 분석됩니다.

해외 주식형 펀드

해외 주식형 펀드도 -0.06%의 손실을 기록했으나, 지역별로는 인도펀드가 2.91%로 선방했습니다. 섹터별로는 금융펀드가 1.83%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였습니다.

설정액 변화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전주 대비 433억 원 감소한 17조8551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반면 채권형 펀드는 설정액이 6726억 원 증가하여 41조601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맺음말

최근 국내 주식형 펀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자동차 산업 관련 상품들이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한한령 해제 가능성이 엔터펀드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향후 시장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펀드 투자 시에는 투자 목표, 위험 감수 수준,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참조 : 이데일리('25.3.30)

 

반응형